최근 변경
최근 토론
특수 기능
파일 올리기
작성이 필요한 문서
고립된 문서
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
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
내용이 짧은 문서
내용이 긴 문서
차단 내역
RandomPage
라이선스
IP 사용자
18.117.107.43
설정
다크 모드로 전환
라이트 모드로 전환
로그인
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.
여기를 눌러 알림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[공지]
openNAMU 계정 이전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.
the tree/설치 방법
(편집 요청)
토론
ACL
알림
현재 진행 중인
사용자 토론
이 있습니다.
[오류!]
RAW 편집
미리보기
[[분류:위키 엔진]] [include(틀:상위 문서, 문서=the tree)] [목차] == 시작하기 전 == === 주의 사항 === * the tree는 기존 상용 위키 엔진과 다르게 설치 방법이 많이 복잡한 편이다. * 그렇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해당 엔진을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게 가이드라인을 작성하는 문서가 이 문서이다. * 설치법이라는 것은 운영체제에 따라 많이 다를 수 있고, 프로그램 버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'''중간에 막힌다고 개발자나 타 위키 운영자에게 무작정 문의하지 말고 __일단 찾아보고__ help할 것'''. === 환경 === * the tree는 서버 자원을 꽤 먹는 프로그램이다. 그렇기 때문에 권장 사양은 다음과 같다. * 램 4GB 이상일 것. * 검색 서버와 DB가 idle 상태[* 가만히 있을 때를 말함.] 기준 각각 500MB 언저리임. 당연히 위키 엔진이나 운영 체제까지 돌리려면 아무리 못해도 2GB는 넘어야 한다. * CPU 성능은 좋으면 좋을 수록 좋음. * DB에서 문서를 불러오는 속도, 검색 성능에 영향을 미침. * 본 문서에서 작성하는 설치 방법은 다음 환경과 같다. * Ubuntu 24.04.1 LTS * x86 == 설치 방법 == * 시작하기 전에 apt 업데이트 > sudo apt update > sudo apt upgrade -y === node.js === * nvm 설치. * [[https://github.com/nvm-sh/nvm?tab=readme-ov-file#installing-and-updating]] * nvm으로 20 버전 설치. > nvm install 20 * node.js 버전 관리 n도 있으니 참고. [[https://www.npmjs.com/package/n| ]] * 위키 엔진 재시작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pm2 설치 > npm install pm2 -g === MongoDB === * 위키 엔진의 DB 설치 * apt는 업데이트가 느리기 때문에 apt로 설치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음. * MongoDB 메뉴얼은 한국어로 친절히 작성되어 있고, 명령어가 바뀔 수도 있기 때문에 공식 문서를 참고할 것. * [[https://www.mongodb.com/ko-kr/docs/manual/tutorial/install-mongodb-on-ubuntu/|Ubuntu 기준]] * [[https://www.mongodb.com/ko-kr/docs/manual/installation/|Ubuntu가 아닐 경우]] * 설치하였다면 계속하기 > sudo systemctl status mongod //MongoDB 실행 중인지 확인 > mongosh //MongoDB 접속 * DB 생성하고 DB에 접속할 user 만들기 > use test123 //test123 DB 생성 및 접속 > db.createUser({ user: "test01", pwd: "mypassword", roles: [ "readWrite" ]}) //test01 계정으로 mypassword 비밀번호로 readWrite 권한으로 계정 생성 > db.getUsers(); //생성된 User 확인 * 만약 계정 생성이 되지 않는다면, > vi /etc/mongod.conf //MongoDB 설정 파일 vi로 열기 > security: //주석 제거후 > authorization: enabled //추가 * 그래도 DB 접근 불가 오류가 발생한다면, > mongosh //MongoDB 접속 > use admin //admin DB 접속 > db.createUser({ user: "test01", pwd: "mypassword", roles: [ "readWrite" ]}) //test01 계정으로 mypassword 비밀번호로 readWrite 권한으로 계정 생성 === Meilisearch === * [[https://www.meilisearch.com/docs/learn/self_hosted/getting_started_with_self_hosted_meilisearch|설치하기]] * [[https://www.meilisearch.com/docs/guides/deployment/running_production|systemctl에 추가해서 실행 편하게 하기]] === 엔진 설치 === > git clone https://github.com/wjdgustn/thetree //엔진 git으로 불러오기 > npm i // 라이브러리 다운로드하기 == 마지막 == * 초기 설정 및 첫 실행은 다음 문서를 참고하자. * [[the tree/위키 구축]]
im preview
요약
문서에 기여한 것을
다올위키 라이선스 정책
으로 배포하고, 저작자 표시를 문서 역사란에 표기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합니다.
이 동의를 철회하지 않겠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18.219.107.243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사용자
18.117.107.43
IP 사용자
로그인
회원가입
최근 변경
[불러오는 중...]
닫기
사용자 문서
문서 기여 내역
토론 기여 내역
(없음)
×
설정
위키
토론
스킨
테마
자동 (시스템 설정)
라이트
다크
각주 표시 형식
브라우저 기본
팝오버
팝업
상대 시간 표시를 사용하지 않음
사용
내비게이션 바 고정
사용
사이드바 설정
기본
숨김
하단 표시
사용자 사이드바 끄기
사용